2011년 7월 19일 화요일

코린도 그룹, 산림탄소배출권 사업 MOU 체결로 40만 헥타 추가 확보

인도네시아 코린도 그룹(SIG Clean Energy)은 오는 7월 19일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되는 한-인니 산림포럼에서 인도네시아 인후따니Ⅱ (InhutaniⅡ, 제 2 국영영림공사)와 동부 칼리만탄 국유림 약 40만 헥타르에서 REDD(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벌목방지탄소배출권) 사업을 하겠다는 MOU를 체결한다.

코린도 그룹은 인도네시아 국영영림공사 (Perum Perhutani)와 약 120만 헥타르에서 25년 기간의 REDD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인후따니Ⅱ 소유의 약 40만 헥타르에 대한 REDD 사업권을 획득하게 됨에 따라 총 160만 헥타르에서 REDD 사업을 추진한다.

칼리만탄 동부와 남부에 있는 인후따니Ⅱ의 산림은 헥타르당 100톤에서 1,000톤까지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연간 산림파괴율을 1퍼센트로 가정하면 REDD 사업을 통해 연간 헥타르당 1톤에서 10톤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론상으로 신규 40만 헥타르의 REDD 사업은 연간 최소 40만 톤에서 400만톤의 REDD 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배출권의 약 20- 40 퍼센트는 보험용으로 비축되어야 하며, 새로 조림하는 경우 탄소배출권 계산이 다르기에 실제 판매가 가능한 배출권은 단순 계산과는 다르며 현재 산림 탄소배출권은 톤당 $5 - $8 사이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가 노르웨이 정부나 다른 다국적 기관들과 REDD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는 프로젝트는 펀드방식 (Fund Based Approach 일정 자금을 지원하고 추후에 자금 지원자가 탄소배출권 양에 관계없이 모든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방식)이지만, 코린도 사업 방식은 코펜하겐에서 동의되었던 바에 따라 펀드방식이 아닌 시장방식 (Market Based Approach 시장의 평가로 탄소배출권 가격이 결정되는 방식)으로 REDD 프로젝트를 한다.

지난 달 인도네시아의 유도요노 대통령과 일본의 칸 수상은 일본 경제산업통상부 (METI, Ministry of Economy, Industry and Trade) 주도 하에 인도네시아와 양자간 탄소배출권 거래를 체결하였으며 산림탄소 프로젝트가 그 주축이 될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특히 일본 원조금으로 베트남에 연간 2천만톤의 탄소배출권이 발생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 추진이 불투명해지며 산림탄소 프로젝트는 일본의 가장 중요한 공급원이 되었다. 현재 오지(Oji Pulp)는 라오스에서, 마루베니(Marubeni Co.)는 인도네시아에서, 미츠비시(Mitsubishi Co.)는 페루에서 각각 일본의 양자체제 아래 REDD 사업을 진행 중이며 미국, 노르웨이, 호주 등도 일본과 더불어 인도네시아 REDD 사업에 집중 투자 중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탄소시장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REDD를 기반으로하는 탄소배출권을 개발하고 있으며, 코린도 그룹은 인도네시아 국영기업과 함께 REDD 사업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여기서 발생한 배출권을 판매할 계획이다. 이 배출권은 2012년 이후에 형성될 새로운 국제 탄소 시장, 자발적 탄소시장, 양자간 탄소거래 시장에서 거래 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