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기후변화 사무총장 코니 헤디가드는 유럽이 미국의 보복 압력에 굴복하는 일은 절대로 없다고 발표했다. 겉으로는 미국과 중국이 보복 운운하지만, 미국은 올 겨울 대선이 있어 유권자들 눈치를 보며 밀어붙이는 눈치이다. 2013년 미국 대선에서 오바마가 당선된다면 재선 걱정이 없어져 탄소체제를 밀어붙일 것이고, 롬니가 당선되어도 마찬가지이다. 주지사 시절 탄소를 관리했던 롬니는 탄소체제를 찬성하지만 요즘 공화당 분위기 때문에 이야기를 하지 않을 뿐이다.
중국은 내부적으로 탄소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사실 중국이 후진국으로 분류되어 마찰이 생길 수 있는 분야는 항공, 해운에 관련된 것이다. 중국항공사의 에어버스 구매는 그대로 진행시킬 것 같지만, 아무런 말없이 물러서자니 중국의 체면이 안 서는 것 같아 투덜대는 정도이다. 중국공산당의 정책은 항상 보복 운운하며 행동 보다는 말이 앞서는 경향을 보인다. 내부적으로 중국은 탄소를 수용하며 탄소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OECD 국가 중 탄소관리를 하지 않는 나라는 유럽 동구권의 몇 국가와 미국, 캐나다, 멕시코, 한국뿐이다. 미국은 교토에 참석하지 않았고, 캐나다는 작년 탈퇴를 했으며, 멕시코는 선진국처럼 절대량 감축을 선언했지만 캘리포니아 탄소관리체제에 가입했다. 캘리포니아 탄소관리체제를 통해 캐나다, 미국, 멕시코는 주단위로 결속하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쉬 콜럼비아, 매니토바, 온타리오, 퀘벡주가 캘리포니아 제도에 참가를 선언했고, 멕시코는 캘리포니아 REDD 등에 참가 한다. 원래 국외 배출권은 인정하지 않는데 멕시코와 캐나다만 주단위로 예외를 두고 있다.
유럽에서 준비되고 있는 탄소관세 보고서에서는 어느 나라가 어떻게 타격을 받을 거라는 분석을 하고 있다. 대상 국가에는 태국 등 후진국도 포함되어 있지만, 후진국 상대로 관세를적용하기에는 윤리, 도덕적 문제로 어렵기 때문에, OECD 국가와 대만, 싱가폴 등에 제한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면 관세 적용 1순위는 당연히 한국인데, 한국은 설상가상으로 유럽과 자유무역협정을 맺고 있다. 무역관세는 법적인 문제가 아니라 국제적 정치 마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는 힘이 이기는 역학관계가 적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