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9월 18일 일요일

탄소표준협회(VCS) 대표, 아시아 지사 설립 위해 방한

코린도 그룹 백광열 고문과 서울대학교 김성일 교수의 초청으로 데이비드 안토니올리 탄소표준협회(VCS, Verified Carbon Standard) 대표가 서울을 방문했다. 그는 에코시큐리티즈 의 자발적 탄소시장 책임자를 역임하였으며, 2008년에 VCS 사장으로 취임하였다.

아래는 안토니올리 대표의 한국 방문에 관한 2011년 9월 7일자 조선일보 기사이다.

“ 선진국들은 이미 탄소 감축에 상당한 투자를 했습니다. 그런 선진국들이 보기에 한국의 탄소 감축 노력이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탄소 관세를 부과할 수도 있을 겁니다. 수출을 주력으로 하는 한국으로선 매우 피곤해질 수 있는 상황이죠.”
데이비드 안토니올리 탄소표준협회(VCS) 대표는 미소 띤 얼굴로 말했지만, 그의 말에선 협박에 가까운 정도로 서늘한 경고가 묻어 나왔다. 그는 오는 11월 서울대와 공동으로 아시아 최초 탄소표준협회 지사를 한국에 설치하는 것 등을 논의하기 위해 방한했다.
탄소표준협회는 탄소배출권 인증을 해주는 비영리 국제기관으로, 다보스포럼으로 유명한 WEF(세계경제포럼), IETA(국제탄소배출권거래협회) 등이 출자해 2005년 만들었다. 기업이나 국가가 풍력, 수력 등 친환경 기술로 탄소를 줄였을 때, 감축량이 얼마인지, 적법한 기술이 쓰였는지, 이에 따라 탄소배출권을 부여해도 될지 등을 확인하고 승인하는 역할을 맡는다. 공정한 인증을 하기 위해 WEF 등 국제 단체들이 출자해 비영리로 운영되는 것이다. 탄소표준협회가 인증을 해주면 뉴욕증권거래소(NYSE)가 탄소배출권을 발행해 거래가 이뤄진다.
2009년 말 한국 정부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를 2020년 배출전망치(BAU)에 비해 30퍼센트 줄인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기업별로 탄소 감축 목표를 부여하고 정부가 정기적으로 감독을 하게 된다. 정부는 그 보완책으로 탄소배출권 거래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비용 부담을 우려한 기업들 반발에 부딪혀 2013년으로 정했던 배출권 거래 실시 시점이 2015년으로 늦춰진 상태다.
현재 세계 탄소배출권 인증 시장은 유엔이 주도하는 규제 위주의 ‘의무 감축 시장’과 민간 인증기구들로 구성된 ‘자발적 감축 시장’으로 나뉜다. 1997년 세계 각국이 탄소를 줄이기로 합의한 교토 체제는 대표적인 의무 감축 시장이다. 한국은 교토 체제에선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돼 탄소 감축 의무가 없다. 탄소표준협회는 자발적 감축 시장에서 34퍼센트의 점유율로 세계 최대 인증 기관이다.
“아직은 의무 감축 시장의 규모가 훨씬 크지만, 머지않아 상황이 바뀔 것”이라고 안토니올리 대표는 말했다. 그는 “유엔 주도하의 교토 체제가 유명무실해질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교토 체제가 종료되는 2013년부터는 강제성을 띤 규약이 사라지고 각국이 저마다 탄소 감축 정책을 시행하며, 다자간 협약 대신 양자간 협약이 대세를 이룰 것으로 그는 내다봤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